전체 글 41

대만리그 CPBL에서 뛰고온 외국인 선수들의 성적은 어땠을까?

얼마전 한화의 새로운 외국인 투수 카펜터의 포스팅을 작성하면서 대만리그 출신 외국인 선수들이 어떤 성적을 남겼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KBO에서 뛰었던 외국인 선수들 중에서 대만 프로야구 CPBL을 거쳐서 KBO로 넘어온 선수를 찾아봤는데 생각보다 꽤 많은 수가 있었습니다. 제가 찾은건 스물 여섯 명이었는데 그 중 2010년대의 선수들만을 가지고 대만에서는 이런 성적을 기록했는데 KBO에서는 어땠는지, 혹은 KBO에서는 이랬는데 대만에서는 어땠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SK의 매그레인입니다. 매그레인은 2000년부터 마이너리그에서 뛰었지만 메이저까지는 올라가지 못했고 2010년 만 31살의 나이에 대만 슝디 엘리펀츠로 이적했습니다. 2010시즌 대만에서 28경기 192이닝 11승 9패 ERA 2.2..

2010년대 이후 어떤 팀이 외국인 선수를 가장 잘 뽑았을까?

외국인 선수는 팀 전력의 아주 많은 부분을 차지합니다. 한 해 외국인 농사를 잘 지으면 하위권 전력에서 가을 야구까지 노려볼 수 있기도 하고 중위권 전력이라면 우승권까지도 도전해볼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팀들이 좋은 외국인 선수를 찾고 매년 리스트업하고 스토브리그 때 계약을 맺지만 모든 선수가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분명 계약 시점에서는 모두가 우주 최강의 선수였는데 어떤 팀의 선수들은 몇년씩 KBO에서 활약하기도 하지만 또 어떤 팀의 선수는 시즌 중에 방출돼서 시즌이 끝나면 이름이 가물가물 해지기도 합니다. 이 차이는 역시 각 팀의 외국인 스카우트들의 능력과 가장 큰 연관성이 있을텐데 그래서 오늘은 어떤 팀이 외국인 선수를 가장 잘 뽑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010년대 이후로 각 팀에서 ..

대기만성형 야구선수 모음

대기만성이란,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말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라도 꼭 성공한다는 뜻입니다. 야구 선수들 중에서도 신인 때부터 활약하는 선수가 있는가 하면 유망주 꼬리표를 오래 달고 다니다가 늦은 나이에 기량이 만개하는 선수들이 있기도 합니다. 오늘은 KBO 선수들 중에 이런 대기만성형 선수들을 모아왔는데 대기만성의 기준을 만 30세로 정해봤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어떤 선수가 늦은 나이에 기량이 만개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한화의 최재훈입니다. 최재훈은 덕수고 졸업 후 2008 신인드래프트에 나갔지만 지명을 받지 못하고 신고선수로 두산에 입단했습니다. 프로에 들어가고 초반에는 2군에서만 뛰다가 2010년에 경찰 야구단에 다녀오면서 빠르게 군 문제를 해결했고 2012시즌에는 1군 엔트리 진입에 성..

메이저리그에서 20홈런 이상을 기록하고 온 역대 용병들의 성적은?

2021시즌을 앞두고 한화가 새로운 외국인 타자 라이온 힐리를 영입했습니다. 저도 관련 포스팅을 작성하기도 했는데, 포스팅에서 말씀드린대로 힐리는 메이저리그 2년 연속 20홈런을 넘길 정도로 커리어가 좋습니다. 그동안에도 메이저리그 기록이 좋았던 선수들이 종종 KBO에 왔었는데 특히 그 중에서 메이저리그 시즌 20홈런을 넘겼던 선수들이 KBO에 와서 어떤 성적을 남겼는지 궁금해져서 찾아왔습니다. 근데 숫자가 생각보다 많아서 2010년대 이후의 선수들만 모아봤습니다. 먼저 삼성의 라이언 가코입니다. 가코는 류중일 감독이 처음 삼성의 지휘봉을 잡았던 2011년에 영입된 외국인 타자입니다. KBO에 오기 전에는 2005년부터 2010년까지 6년간 메이저리그에서 뛰었고 그 중 2007년부터 2009년까지는 매년..

합법 도핑, FA로이드의 효과를 제대로 본 선수들

도핑이란, 운동선수가 좋은 성적을 올리기 위해 심장 흥분제나 근육 강화제 같은 약물을 먹거나 주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모든 스포츠에서 도핑을 금지하고 있고 당연히 KBO에서도 그렇지만 합법적으로 도핑이 가능한 경우도 있는데 그건 바로 FA로이드입니다. FA로이드는 자유계약을 뜻하는 FA와 근육 강화제인 스테로이드의 합성어입니다. FA를 앞둔 선수가 금지약물인 스테로이드라도 맞은 것 처럼 평소보다 더 좋은 성적을 보여준다는 뜻입니다. 1년의 성적으로 몸값 수 억원이 좌우되기 때문에 많은 선수들이 FA를 앞둔 시즌에 좋은 성적을 보여주고 계약을 체결한 뒤에는 성적이 다시 원상복구되는 선수들도 많습니다. 역시 가장 큰 동기부여는 돈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그래서 오늘은 합법 도핑 FA로이드의 효과를 봤던 선수들..

NC 다이노스 1라운드 지명 선수는 지금 뭐하고 있을까?

오늘은 NC다이노스의 전성기 나이가 된 선수들의 근황을 알아보겠습니다. 2011년 창단한 NC는 그 해 드래프트였던 2012신인 드래프트부터 지명권을 행사했습니다. kt와 마찬가지로 NC도 신규 구단 창단 혜택으로 2년간 특별 지명을 할 수 있었는데 2012 드래프트가 열리기 1주전 두 명의 선수를 우선 지명하고, 2라운드 이후 다섯 명의 특별 지명이 가능했습니다. 먼저 우선지명으로 뽑힌 노성호입니다. 고등학교시절 프로 지명을 받지 못해서 동국대로 진학한 노성호는 대학에 가서 어깨가 회복되고 폼을 교정하면서 최고구속이 150KM까지 나오는 좌완 투수로 성장했습니다. 동국대의 에이스로 대회 MVP를 두 번이나 받으며 관심을 끌었고 NC의 창단 1호 선수가 됐습니다. 2012년 NC는 창단 첫 시즌이라 퓨처..

유망주 근황 2021.03.20

키움 히어로즈 1라운드 지명 선수는 지금 뭐하고 있을까?

오늘은 2010 신인 드래프트부터 2014 신인 드래프트까지 히어로즈에서 지명한 선수들이 얼마나 성장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2010 드래프트입니다. 히어로즈는 1라운드에서 광주진흥고의 김건태를 지명했습니다. 당시 김정훈으로 지명이 됐는데 2016 시즌 후 김건태로 개명했습니다. 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진흥고의 에이스로 활동하며 화랑대기에서 MVP를 받을 정도로 잠재력을 인정받은 투수였습니다. 3학년 때는 부상 때문에 많은 등판을 하지 못했는데 히어로즈에서 심동섭과 김건태를 두고 고민을 하다가 김건태의 잠재력을 믿고 전체 2순위에서 지명했습니다. 입단 직후 투구폼 교정을 했는데 그 때문인지 2010년 첫 해 1군 5경기 밖에 등판하지 못했고 2011년에는 토미존 수술을 받으며 한 경기도 나오지 못했습..

유망주 근황 2021.03.19

두산 베어스 1라운드 지명 선수는 지금 뭐하고 있을까?

오늘은 2010 신인 드래프트부터 2014 신인 드래프트까지 두산베어스가 지명한 선수들이 얼마나 성장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2010 신인 드래프트입니다. 두산은 1라운드에서 효천고의 장민익을 지명했습니다. 장민익은 야구를 시작한 것이 중학교 2학년 때로 비교적 늦은 편이고 효천고 시절에도 기본기를 다지기 위해 유급해서 1학년을 두 번 다녔습니다. 고3 때 성적이 47이닝 2승 3패 ERA 4.02로 누가봐도 1라운더로 뽑힐 기록이 아니었는데 장민익은 207CM의 엄청난 피지컬이 있었습니다. 게다가 당시 두산이 목말라하던 좌완이었으니 구단의 머리 속엔 207CM, 좌완, 랜디존슨, 성공적으로 가득찼고 다소 도박성 지명을 하게 됐습니다. 그래도 장민익은 고2 겨울 때만 하더라도 구속이 135KM였는데 ..

유망주 근황 2021.03.17

SK 와이번스 1라운드 지명 선수는 지금 뭐하고 있을까?

오늘은 2010 신인 드래프트 부터 2014 신인 드래프트까지 SK가 지명한 선수들이 얼마나 성장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2010 드래프트입니다. SK는 1라운드에서 진흥고와 동의대를 나온 문광은을 지명했습니다. 문광은은 동의대 시절 2009년 회장기 하계리그 우승을 이끌었고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때 윤지웅과 원투펀치를 이뤄 활약했는데 윤지웅이 2011 드래프트에서 넥센의 1라운드 지명을 받으며 동의대는 2년 연속 1라운더를 배출했습니다. 문광은은 2010년 시즌부터 바로 1군에서 활약했고 선발로 두 차례나와 무너진 것을 제외하면 (3이닝 5실점, 3이닝 3실점) 불펜 등판 했을 때 크게 실점하는 일은 없었습니다. (12.2이닝 2실점) 그 해 한국시리즈 엔트리에도 이름을 올렸고 데뷔 첫 ..

유망주 근황 2021.03.16

삼성 라이온즈 1라운드 지명 선수는 지금 뭐하고 있을까?

오늘은 삼성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신인 드래프트에서 지명한 유망주의 근황을 알아보겠습니다. 삼성은 2010년 신인 드래프트 1라운드에서 배명고와 고려대를 나온 투수 임진우를 지명했습니다. 임진우는 최고 구속 145km/h의 직구와 변화구 구사 능력이 좋아 1군 즉전감이라는 평가를 들었습니다. 2010년 6월 18일 한화전에 마무리로 등판해 2이닝 1피안타를 기록하며 1군 데뷔전을 성공적으로 치렀습니다. 이후에도 좋은 활약으로 1픽다운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2013년에는 부진하며 1군 필승조로 투입되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2013시즌이 끝나고 경찰청 야구단에 입대했는데요, 군 복무 도중에도, 제대 후에도 수술대에 여러번 올랐습니다. 재활군에서 2015년 시즌을 시작하였지만 재활이 더뎌지며 1..

유망주 근황 2021.03.15